About O'sechill
About O'sechill
The Story Behind O’sechill’s Seongsu Space
It was on this basis we broke free from space — and acquired a sense of place. The literal meaning of space is an empty, unoccupied area. It is only when values or experiences are added to this space does it become a place, a fusion of a variety of subjective experiences. And only by building O’sechill’s atmosphere and key values beneath our respect for this area called Seongsu can O’sechill exist as a place and build upon people’s memories.
Then, what does it mean to be like Seongsu? As a semi-industrial area where workshops and factories were located, extravagant décor and grandeur did not suit it, and so we went through the process of building O’sechill bit by bit, or like layering concrete, slow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it is a newly opened space, traces of the time that naturally passed throughout the process remain, and so it was born as a place that respects locality and reveals the nature of Seongsu.
The second was openness and simplicity.
Since Seongsu has quite a bit of land, there are many places with terraces or gardens. We opened up a section that was once used as a parking lot as much as we could, and put an incredible amount of effort into tearing down the barrier between the bar and garden. Now the moment you step into the garden, you can see the barista making coffee behind the bar, and simply standing in the garden does not feel awkward or uncomfortable. We thought about how even passersby could stop in and feel at ease. The spac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garden and gallery, with the 1st floor bar as part of the garden, and the 2nd floor gallery also acting as visitor seating. By simply separating these two basic, clear functions by floor and removing the visual barrier between the garden and bar, we hope O’sechill can become a place people can easily frequent or pass by as if visiting a neighborhood park. This coincides with our vision that we must reduce prejudice and obstacles when viewing artwork — viewing it with sentiment.
합정에 있던 오색칠 공간을 성수에 새롭게 재구성 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크게 두가지이다.
그 첫째는 지역성, 요즘 말로 표현하면 로컬리즘이라 할 수 있는데 성수동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정서나 톤을 존중하고 그 위에 오색칠의 정수를 쌓아가는 방식이다. 합정에 있던 그대로 고스란히 위치만 옮겨 놓는다면 그건 새롭게 옮겨온 지역을 존중하는 방식이 아닐 테니까 말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 우리는 공간에서 벗어나 장소성을 획득하게 된다. 공간(Space)은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는 빈 곳이라는 의미이며, 이러한 공간에 가치나 경험이 더해질 때 비로소 다양한 이들의 주관적 체험이 결합되는 장소가 된다. 오색칠이 가지고 있던 분위기와 핵심 가치를 성수동이라는 지역에 대한 존중 아래 쌓아감으로서 비로소 오색칠은 장소로 존재하게 되고 앞으로 사람들의 추억이 더해질 것이다.
성수동스러움이란 뭘까. 공방과 공장들이 위치해있던 준공업지역이던 이 곳에, 과한 치장과 꾸밈은 어울리지 않는다 판단했고 가급적 모든 것들을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혹은 오랜 시간을 들여 양생해야만 하는 1차적인 방식으로 작업하는 과정을 거쳤다. 갓 새로 오픈한 공간임에도 작업 과정에서 당연히 발생하는 시간의 흔적이 남아 성수라는 지역의 특성이 드러나는, 지역성을 존중하는 장소로 탄생되었다.
두 번째로 고려했던 부분은 개방성과 단순화이다.
성수동은 필지 규모가 큰만큼, 테라스나 정원을 가진 장소들이 많이 있다. 주차장으로 활용되던 부분을 최대한 개방하고 바와 정원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 뜨리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원에 발을 딛는 순간 누구나 바 안에서 커피를 내리고 있는 바리스타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아무 목적 없이 정원에
서 있기만 해도 어색하거나 불편하지 않다. 지나가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잠깐 들어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한 부분이다.